목록My Documents (4)
시다바리
Linux on POWER: 개발자를 위한 개요서 Calvin Sze | 리눅스 컨설턴트, IBMChakarat Skawratananond | Linux on POWER 기술 컨설턴트, IBMBrent Baude | Linux on POWER 기술 컨설턴트, IBM리눅스는 최대 가용성과 유연성은 물론, 오픈 표준을 비즈니스 솔루션에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. POWER 프로세서 기반 서버 제품군의 입증된 퍼포먼스와 신뢰성을 추가하면, 애플리케이션은 Linux on POWER의 결합된 이점들을 거둘 수 있을 것이다. Linux on POWER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환경을 소개하고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. 머리말다음은 이 글에서 다룰 주제들이다. POWER5™와 POWER5+™ 아키텍..
GNU Make 강좌 임대영 RAXIS@hitel.net v1.0, 1997년 8월 28일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이 글에서는 컴파일 과정과 같이 반복되는 작업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GNU-Make에 대해서 설명한다.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3. 매크로(Macro) 와 확장자(Suffix) 규칙 3.1 매크로란 무엇인가? (What is Macro) 앞에서 매크로에 대해서 대충 언급을 했다. 프로그램을 짜본 사람이나 로터스, 한글, 엑셀 등의 모든 패키지에서 매크로라는..
GNU Make 강좌 임대영 RAXIS@hitel.net v1.0, 1997년 8월 28일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이 글에서는 컴파일 과정과 같이 반복되는 작업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GNU-Make에 대해서 설명한다.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2. 간단한 Makefile 2.1 Makefile 의 내부 구조 Makefile은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이 목표(target), 의존 관계(dependency), 명령(command)의 세 개로 이루어진 기분적인 규칙(rule)들이..
GNU Make 강좌 임대영 RAXIS@hitel.net v1.0, 1997년 8월 28일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이 글에서는 컴파일 과정과 같이 반복되는 작업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GNU-Make에 대해서 설명한다.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1. make (만든다?) 1.1 make 유틸리티 1.2 make의 필요성 2. 간단한 Makefile 2.1 Makefile 의 내부 구조 2.2 Makefile 예제 2.3 매크로의 사용 2.4 레이블의 사용 3. 매크로(Ma..